배너 닫기
맨위로

조선 한양 사람들의 친목 모임은 어땠을까?

한양 친목 모임 그린 ‘계회도’ 4점 공개…모임 소회를 시‧서문으로 써 일상의 추억 남겨

등록일 2021년03월25일 10시45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서울역사박물관, 조선판 SNS '계회도' 전시

양반들의 교류상 보여주는 ‘투호아집도’, 자줏골(현 창신동) 잔치 그림 ‘탑동연첩’, 19세기 경희궁 채색화 ‘경희궁도’, 평양 감사 행렬과 대동강 뱃놀이 그린 ‘기성도병’

 

<탑동연첩(세부)>

 

조선시대 한양 사람들의 친목 모임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SNS에 사진과 댓글로 일상을 공유하는 요즘 사람들처럼 한양 사람들은 모임 풍경을 그림으로 그리고 모임을 하게 된 배경이나 소회를 시나 서문으로 써 일상의 추억을 남겼다. 주최자와 참석자들의 관직‧이름을 적는 것(좌목‧座目)도 빠트리지 않고 챙겼다.

 

서울역사박물관이 한양 사람들의 친목 모임을 그린 조선판 SNS ‘계회도(契會圖)’ 4점을 새롭게 선보인다. 마치 옆에서 들여다본 것처럼 한양 사람들의 친목 모임을 생생하고 세밀하게 그리고 쓴 작품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조선시대의 서울, 한양의 생활상을 전시한 상설전시실 1존의 전시 시나리오와 유물을 보완해 새 단장했다. 진열장도 전면 교체해 유물 보존의 안전성을 강화했다. 관람객들이 편안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조명, 패널 교체 등 전시 환경도 개선했다.

 

계회도 4점과 함께 19세기 경희궁을 그린 <경희궁도(慶熙宮圖)>, 평양 감사의 행렬을 담은 <기성도병(箕城圖屛)>도 상설 전시로 새롭게 선보인다.

 

이번 상설 전시의 추가된 주요 유물은 계회도 4점(투호아집도, 경자관반계첩, 탑동연첩, 통례원계회도), 경희궁도, 기성도병이다.

 

공개하는 계회도 4점은 <투호아집도>, <경자관반계첩>, <탑동연첩>, <통례원계회도>다. 18세기 문인 김두열이 친구들과 어울리는 장면을 그린 <투호아집도>,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는 관원들의 모습을 그린 <경자관반계첩>, 자줏골(현 창신동)에서 열린 영안부원군 김조순이 후원한 무관들의 잔치를 담은 <탑동연첩>, 한강변 잠두봉(현 절두산)에 모인 관원들의 모임을 그린 <통례원계회도>를 선보인다.

 

<투호아집도(投壺雅集圖)>는 18세기 후반 한양 서쪽 자락 아래에서 김두열과 친구 6명이 술을 마시며 시를 짓고 투호를 즐기며 친목을 다진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이 쓴 13편의 시도 담고 있어 조선 후기 한양에 살았던 양반들의 교류상을 잘 보여준다. 김두열(1735~1781)은 조선 중기 문인인 김장생 집안의 후손으로 글씨와 그림에 조예가 깊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경자관반계첩(庚子館伴契帖)>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파견된 명 사신의 영접을 담당했던 경리도감(經理都監) 관원들의 모임을 기념한 그림이다. 영은문(지금의 독립문 일대)과 연향대(宴享臺) 위에 장막을 설치하는 등 영접을 준비하는 도감 관원들의 모습을 그리고 관원들의 명단을 기록해 첩으로 만들었다. 경리도감은 정유재란 당시 명나라 군대를 지휘하기 위해 파견된 명나라 사신을 위한 의전과 응대를 위해 임시 설치했다가 전쟁이 수습된 후 1600년(庚子年)에 종료했다.

 

<탑동연첩(塔洞宴帖)>은 1803년 무관 관원들이 자줏골(현 창신동)에서 영안부원군 김조순(金祖淳, 1765-1832)의 후원으로 잔치를 연 장면을 그림과 글로 남긴 것이다. 무관들이 술병을 가운데에 두고 한가롭게 앉아 연회하는 장면을 그렸다. 근처에는 우거진 수풀이 있고 멀리에는 백탑(현 탑골공원 내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비롯해 두 개의 전각이 있으며 그 뒤로 먼 산이 보이고 지는 저녁 해가 걸려 있다.

 

<통례원계회도(通禮院契會圖)>는 1586년 한강변 잠두봉(현 절두산)에서 통례원의 관원들이 계회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통례원은 조선시대 국가의 의례를 관장하던 관청이었다. 모임 참석자인 ‘이정회’가 남긴 기록에 따르면 식사 후 한강으로 가서 여러 동료 관원들과 함께 배를 타고 종일 물 위를 노닐었다고 한다.

 

19세기 전반 궁중 화원화가가 그린 것으로 추정하는 <경희궁도(慶熙宮圖)>는 정확한 투시와 일관성 있는 공간 구획 등 건물 묘사 방법이 국보 제249호로 지정된 <동궐도(東闕圖)>와 유사한 그림이다. 경희궁을 그린 <서궐도안(西闕圖案)>(보물 제1534호)이 밑그림 형태로 남아있는 반면 이 그림은 채색이 되어있어 눈길을 끈다.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76호인 <기성도병(箕城圖屛)>은 상설전시실 1존 내에 작은 전시실을 새로 마련해 전시했다. 19세기 평양성 일대의 풍경과 평양감사의 행렬을 담은 그림으로 평양성 안팎의 경관을 수려하게 그렸을 뿐 아니라 대동강에서 뱃놀이하는 장면도 그려 이목을 끈다. 서울역사박물관의 『소장유물자료집 10권-기성도병, 19세기 평양 들여다보기』(2019년 12월 발간)로 소개해 원본을 보고 싶다는 시민들의 요청이 많았던 유물이다.

 

배현숙 서울역사박물관장은 “상설전시실 개편을 통해 조선시대의 서울, 한양의 생활상을 보다 풍부한 전시 시나리오와 유물로 보여드리게 됐다”라며 “특히 친목 모임을 기록하고 추억한 ‘계회도’를 통해 한양의 생활상을 엿보고 현대의 SNS와 비교해보는 흥미로운 시간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ANN

 

자료_서울역사박물관

박은비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